전북소방안전본부
HOME LOGIN JOIN SITEPAM
종합민원센터 안전지킴이 알림마당 참여마당 소방관자료실 소방안전본부소개 어린이마당
New Document
안전지킴이
안전체험센터
기초상식
자연재난
인적재난
사회적재난
다중업소 소방안전교육
아는만큼 안전하다
생활안전
응급처치법
다중이용업소 소방안전교육
사이버 안전체험관
태풍·강풍 HOME > 안전지킴이 > 자연재난 > 태풍·강풍
태풍, 강풍
태풍
태풍 오기 전에는
TV나 라디오를 수신하여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숙지합시다.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침수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의 생필품은 미리 준비합시다.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 또는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 바람에 날릴 수 있는 것 등을 단단히 고정합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 합시다.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고층아파트 등 대형ㆍ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맙시다.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
태풍 주의보 때는
도서지역에서는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 합시다.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대피할 때에는 수도, 가스, 전기는 반드시 차단합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농촌지역에서는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감전위험이 있으니 고압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바람에 지붕이 날아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고 바람에 날아갈 수 있는 물건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집주변이나 경작지의 용ㆍ배수로를 점검합시다.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비닐하우스 등의 농업시설물을 점검합시다.
해안지역에서는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해안도로를 운전하지 맙시다.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ㆍ군ㆍ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바닷가 근처나 저지대에 계신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시다.
태풍 경보 때는
도서지역에서는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과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건물의 간판 및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접근하지 맙시다.
고층아파트 등 대형ㆍ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물이 넘쳐서 흐르는 것을 막읍시다.
바람에 날아갈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과 하수도 맨홀에 접근하지 맙시다.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하시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방법을 미리 의논합시다.
농촌지역에서는
주택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으면 미리 대피합시다.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물이 넘쳐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 침수를 예방합시다.
위험한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 근처에 접근하지 맙시다.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해안지역에서는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집 근처에 위험한 물건이 있다면 미리 치웁시다.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 후에 이용합시다.
선박을 단단히 묶어두시고 어망ㆍ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가족 간의 연락방법이나 대피방법을 미리 확인합시다.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시·군·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비상 식수가 떨어졌더라도 아무 물을 먹지 마시시고 물은 꼭 끓여 드십시오.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시고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손대지 마시고 전문 업체에 연락하여 사용합시다.
사유시설 등에 대한 보수·복구 시에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두십시오.
제방이 붕괴될 수 있으니 제방 근처에 가지 마시고,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강풍
강풍 예보 때는
문·창문을 닫고 집 안에서 머무릅시다.
유리 파손 때문에 생긴 피해를 줄이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붙입시다.
해안지역에서는 바닷가로 가지 맙시다.
라디오나 TV의 기상정보를 주의 깊게 들읍시다.
날아갈 수 있는 모든 물건들을 안으로 들여놓으세요.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비닐하우스는 방풍벽이나 그물을 이용한 파풍망을 설치합시다.
비닐하우스는 서까래 사이에 나선형 말목을 박아 고정밴드로 고정합시다.
바람이 강하게 불 때에는 비닐하우스를 밀폐시킨 다음 환풍기를 가동합시다.
비닐이 찢어진 부분은 빨리 보수하여 바람 피해를 예방합시다.
강풍 몰아칠(주의보/경보)때는
집에 있는 경우에는 현관, 복도 또는 창문의 유리파편으로부터 보호 가능한 곳에 있으세요.
구분 육상 산간
보통(풍속) 순간풍속 보통(풍속) 순간풍속
주의보 14m/s이상 20m/s이상 17m/s이상 25m/s이상
경보 21m/s이상 26m/s이상 24m/s이상 30m/s이상
지붕 위나 바깥에서 작업을 하지 맙시다.
나무 밑으로 피하지 맙시다.
바닷가 근처로 가지 맙시다.
강풍이 지나간 후 땅바닥에 떨어진 전깃줄에 접근하거나 만지지 맙시다.
외출을 삼가고 자동차를 타고 갈 때는 속도를 줄입시다.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접근하지 맙시다.
강풍이 지나간 후에는
피해를 조사하고 사진을 촬영하여 둡시다.
가스, 수도, 전기 등 공급 관을 조사하고, 작동 여부를 확인 합시다.
시군구, 읍면동 등 관청에서 내리는 지시에 따르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집 피해가 크더라도 절대 흥분하지 말고 침착하게 처리합시다.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보호정책 홈페이지개선의견 뷰어프로그램 사이트맵
방문자카운팅
185
467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