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소방안전본부
HOME LOGIN JOIN SITEPAM
종합민원센터 안전지킴이 알림마당 참여마당 소방관자료실 소방안전본부소개 어린이마당
New Document
안전지킴이
안전체험센터
기초상식
자연재난
인적재난
사회적재난
다중업소 소방안전교육
아는만큼 안전하다
생활안전
응급처치법
다중이용업소 소방안전교육
사이버 안전체험관
풍랑·적조 HOME > 안전지킴이 > 자연재난 > 풍랑·적조
풍랑, 적조
풍랑
풍랑 오기 전에는
과거의 재해기록을 파악하고, 풍랑 발생 시 어떠한 상황이 예상되는지를 파악해 둡시다.
만일에 대비하여 대피장소를 정하고 대피 경로를 실제 도보로 확인해 둡시다.
손전등, 라디오, 가정상비약 등 대피준비물을 준비해 둡시다.
풍랑 주의보 때는
풍랑 주의보, 경보 발령기준
풍랑 주의보 : 해상에서 풍속 14m/s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 파고가 3m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때
풍랑 경보 : 해상에서 풍속 21m/s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 파고가 5m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때
해안가에서는
TV, 라디오 등을 통해 풍랑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관공서의 재난 예·경보를 청취합시다.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는 외출을 자제하며 특히 해안가에 접근하지 맙시다.
해안가의 낚시꾼, 야영객, 행락객 등은 인근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해안가 위험축대 등 시설물은 사전에 철거하거나 접근을 하지 맙시다.
높은 파도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방파제, 방조제 등에 가지 맙시다.
해상에서는
항해 중 또는 조업어선은 인근 선박이나 관계기관(어업무선국 등)에 연락하고 대피를 준비합시다.
어망의 부설을 중지하고 철거조처를 취합시다.
항 내 정박·선박은 충돌,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합시다.
수산시설은
수산 증·양식시설을 고정하고 지지대로 보강하여 높은 파도와 강풍에 유실되지 않도록 합시다.
이동 가능한 양식자재·해상작업대 등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 조치합시다.
항·포구 부두 및 어선에 적재된 어구는 육지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항만시설은
각종 하역장비별 피해예방활동을 합시다.
크레인 전도방지용 장비 등 안전장치를 점검합시다.
항만공사장의 공사용 장비, 사람은 안전지대로 대피합시다.
풍랑 경보 때는
해안가에서는
TV, 라디오 등을 통해 풍랑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관공서의 재난 예·경보를 청취합시다.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는 외출을 자제하며 특히 해안가에 접근하지 맙시다.
해안가의 낚시꾼, 야영객, 행락객 등은 인근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해안가 위험축대 등 시설물은 사전에 철거하거나 접근을 하지 맙시다.
높은 파도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방파제, 방조제 등에 가지 맙시다.
해안가 주택, 영업점에서는 발화성, 유독성의 위험한 가재도구를 이동시키고,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합시다.
해안도로는 유실 등이 예상되므로 통행을 자제합시다.
피난 권유나 방송이 없을 시에도 위험을 느끼게 되면 스스로 대피합시다.
해상에서는
항해 중 또는 조업어선은 인근 선박이나 관계기관(어업무선국 등)에 연락하고 대피를 준비합시다.
어망의 부설을 중지하고 철거조처를 취합시다.
항 내 정박·선박은 충돌,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
소형어선은 안전한 육지로 인양하고 결박(고정)조치를 취한다.
수산시설은
수산 증·양식시설을 고정하고 지지대로 보강하여 높은 파도와 강풍에 유실되지 않도록 합시다.
이동 가능한 양식자재·해상작업대 등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 조치합시다.
항·포구 부두 및 어선에 적재된 어구는 육지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인양 가능한 시설물은 신속히 인양하여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수산생물의 먹이양을 조절하고 사육밀도를 낮춥시다.
양식어류 도피방지를 위한 보호망을 보강 설치합시다.
항만시설은
각종 하역장비별 피해예방활동을 합시다.
크레인 전도방지용 장비 등 안전장치를 점검합시다.
임항창고, 야적장, 조명시설, 급수시설 등을 고정 및 보강합시다.
컨테이너, 원목, 기타 적재화물 등은 풍랑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이동 또는 결박(고정)합시다.
항만공사장의 공사용 장비, 인원은 안전지대로 대피합시다.
항만 공사 중인 현장은 피복석, 테트라포드(호안용 블록) 등 보강자재를 활용하여 보강조치를 취합시다.

적조
적조 발생 때는
선박을 활용하여 양식장주변 적조생물을 분산시키고 산소를 주입합시다. 유해성 적조가 양식어장 주변해역에 발생했을 때에.는 먹이공급을 중단합시다. 인근해역에 적조가 발생했을 때에는 적조생물 밀도에 따라 사료 공급량을 조절합시다. 수심을 조절할 수 있는 시설은 5m 이상으로 수심을 유지합시다. 주간 적조생물 부상시간에 황토를 살포합시다. 소규모 적조 시에는 어장유입 전에 황토를 살포합시다
육상양식장 적조피해방지요령
적보피해예방 기기 장비 준비
액화산소, 공기 공급 장치 등
여과시설, 적조경보기, 분말 황토등
적조밀도 수시 점검
적조주의보 발령 시부터 인입수의 적조밀도를 24시간 점검
특히 야간에는 저층의 고밀도 적조가 인입수를 통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음
급이 중지
적조주의보 시부터는 가급적 절식
적조경보 시에는 먹이공급 완전 중단
적조제거
고압여과기, 지하해수, 순환여과시스템, 분말황토 등을 활용한 적조생물 제거
액화산소공급
적조주의보 시부터 액화산소를 공급하고, 적조밀도 증가와 함께 공급량 확대
주수관을 통한 액화산소의 혼합 공급
포기량 증가
적조주의보 시부터 산소발생기 최대한 가동 및 에어스톤 증가
환수조절
100개체/ml 이상의 고밀도 적조 유입 시부터 부분환수 실시
고밀도 적조가 장시간 지속시에는 해수공급과 단수를 반복
폐사체 신속제거
수조내 살아있는 양식생물의 연쇄적인 폐사 방지를 위해 폐사체를 신속히 제거
전복특별관리방법
적조발생 직전 사육수조 바닥의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
사육조내 에어스톤 수 증설
적조주의보 시부터 먹이공급 중지 및 액화산소 공급
적조발생시 용존산소는 새벽녁에 가장 낮음으로 야간의 용존산소 저하에 특히 주의 요망
양식생물에 대한 적조의 유해성
활동성 어류(방어, 돔)가 정착성 어류(조피볼락, 넙치)보다 적조에 더 민감
성어가 치어보다 적조에 더 민감
집약적 양식의 전복은 고밀도 적조에서 용존산소 급감에 각별한 주의 요망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보호정책 홈페이지개선의견 뷰어프로그램 사이트맵
방문자카운팅
184
467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