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소방안전본부
HOME LOGIN JOIN SITEPAM
종합민원센터 안전지킴이 알림마당 참여마당 소방관자료실 소방안전본부소개 어린이마당
New Document
안전지킴이
안전체험센터
기초상식
자연재난
인적재난
사회적재난
다중업소 소방안전교육
아는만큼 안전하다
생활안전
응급처치법
다중이용업소 소방안전교육
사이버 안전체험관
붕괴·폭발 HOME > 안전지킴이 > 인적재난 > 붕괴·폭발
붕괴, 폭발
붕괴
건물 붕괴 징조를 느낄 때는
건물 붕괴 징조를 느낄 때에는 건물 밖으로 즉시 대피합시다.
건물바닥이 갈라지거나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때
갑자기 창이나 문이 뒤틀리고 여닫기가 곤란한 때
철거 중인 구조물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화염에 철강재가 노출된 때
바닥의 기둥부위가 솟거나 중앙부위에 쳐진 현상이 발생되는 때
기둥이 휘거나 대리석 등 마감재가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가는 때
기둥 주변에 거미줄형 균열이나 바닥 슬래브의 급격한 쳐짐 현상이 발생한 때
계속되는 지반침하와 석축ㆍ옹벽에 균열이나 배부름현상이 나타나는 때
벽이나 바닥의 균열소리가 얼음이 깨지는 듯이 나는 때
개 등 동물이 갑자기 크게 짖거나 평소와 달리 매우 불안해하는 때
건물 내부에 있을 때는
건물이 붕괴한 경우에는 당황하지 말고 주변을 살펴서 대피로를 찾으세요.
엘리베이터 홀, 계단실 등과 같이 견디는 힘이 강한 벽체가 있는 안전한 곳으로 임시 대피합시다.
상자는 가능한 빨리 안전한 장소로 함께 탈출 후 응급처치를 합니다.
평소에 완강기, 밧줄(로프), 손전등 등 탈출에 필요한 물품이 있는 곳을 확인해 둡시다.
붕괴사고 발생 때 건물 밖으로 탈출 가능한 통로를 찾고, 주위 사람들과 협력하여 완강기, 밧줄 등을 이용하여 노약자, 어린이, 여성 등을 우선하여 탈출하도록 합시다.
대피 중 위급상황에 대비해 건물에 대해 잘 아는 건강한 성인을 선두로 이동해야 하며, 낙하물에 대비해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신속하고 질서 있게 대피합시다.
이동 중에는 장애물 등을 될 수 있으면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불가피하게 제거할 때 추가 붕괴위험에 대비합시다.
유리파편이나 낙하물에 대비하여 코트, 담요, 신문, 상자(박스) 등으로 머리와 얼굴을 보호합시다.
붕괴 때문에 고립이 장기화될 경우를 고려하여, 냉장고 등에서 음식과 물을 찾아 먹되 가능한 한 오래 버틸 수 있도록 음식물의 소비를 조절해야 합니다.
잔해 때문에 꼼짝 못하게 되었을 때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수시로 손가락과 발가락을 움직여야 합니다.
사랑하는 가족을 생각하면서 생존을 위해 계속 탐색하면 기운을 차리게 되고 사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조대의 호출이 들리면 침착하게 반응하고, 체력을 완전히 소진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고함을 지르지 맙시다.
주위에 사람이 있다고 확신할 때는 손전등을 비추거나 큰소리로 부르거나 파이프 등을 두드려 구조대의 주의를 끌어야 합니다.
불필요하게 체력을 소모하지 말고 될 수 있으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구조를 요청합시다. 방법은, 파이프 등을 규칙적으로 두드리거나 소리를 지르거나 휴대전화로 119에 신고합니다.
휴대전화는 불통구역이라도 전원을 켜두되, 축전지(배터리) 절약을 위해 전원은 일정주기로 꺼주세요.
공기 공급이 잘되는 창문이나 선반이 없는 벽 쪽이나 낙하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튼튼한 테이블 밑에서 자세를 낮추고 구조를 기다립니다.
안전지대에 있는 경우는 그곳에 머무르고, 부서진 계단이나 정전으로 가동이 중단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는 이용하지 맙시다.
가스누출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성냥, 난로(스토브) 등을 켜지 말아야 하며 손전등을 사용합니다.
건물 외부에 있을 때는
건물 밖으로 나오면 추가붕괴와 가스폭발 등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합시다.
붕괴건물 밖에 있는 주민들은 추가붕괴, 가스폭발, 화재 등의 위험이 있으니 피해가 없도록 사고현장에 접근하지 맙시다.
붕괴지역 주변의 보행할 때나 이동 때에는 위험지역 또는 불안정한 물체에서 멀리 떨어지고, 유리파편 등에 다치지 않도록 가방, 방석, 책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시다.

폭발
폭발사고 예방은
가스가 누출되었을 때에는 체류가스를 밖으로 내 보내는 등 즉시 환기를 하고, 전기스위치나 화기 사용을 금지해야 합니다.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밀폐공간 등에서는 집진설비를 설치해야 하며, 화기사용을 억제해야 합니다.
과열이 되기 쉬운 가전제품, 보일러 등은 무리해서 사용하지 말고, 항상 안전밸브 등을 확인 점검해야 합니다.
휴대전화, 노트북 등의 축전지는 장시간 또는 고온의 장소에서 사용을 억제하고, 금속물질과 함께 보관하거나 무리한 압력을 가하지 맙시다.
휴대용 부탄가스, 헤어스프레이 등 폭발성 용기는 반드시 구멍을 뚫어 잔류가스를 배출한 후 버립시다.
여름철에 가스라이터 등 폭발성 위험물질을 자동차에 두고 내리지 맙시다.
의심이 되는 폭발물을 발견 시에는 마음대로 분해하지 말고 가까운 경찰서나 군부대에 신고합시다.
폭발 사고 발생 때는
건물 안에서는 2차 폭발에 대비하여, 신속히 밖으로 대피하여야 합니다.
폭발사고 때는 굉음으로 청각 장애를 당할 수 있으므로, 귀를 막고 대피합시다.
폭발사고 시에는 멀리 떨어진 장소, 차폐 벽이 있는 장소 등 안전한 곳으로 신속히 대피하여야 합니다.
연기ㆍ가스에 의한 질식 등에 대비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파편이나 낙하물에 주의하면서 대피하여야 합니다.
부상자는 즉시 안전한 장소로 먼저 옮긴 후에 응급조치를 하여야 합니다.
추가 폭발에 대비 전기 스위치와 화기사용 등을 금하고, 가스 중간밸브를 잠근 후 창문을 열어 자연환기를 시켜야 합니다.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보호정책 홈페이지개선의견 뷰어프로그램 사이트맵
방문자카운팅
181
467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