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및 119 대표 이미지

119는 언제 어디서나 도민과 함께 있습니다!

통합검색

안전지킴이

  • 기초상식
    • 불이란
    • 화재예방요령
    • 소화기사용법
    • 화재발생시행동요령
  • 자연재난
    • 홍수·호우·가뭄
    • 폭염
    • 해빙기
    • 태풍·강풍
    • 대설·한파
    • 황사
    • 지진·지진해일·해일
    • 풍랑·적조
  • 사회재난
    • 화재·산불·아파트화재
    • 붕괴·폭발
    • 교통사고
    • 정전
    • 테러
  • 생활안전
    • 물놀이
    • 승강기
    • 수상·낚시
    • 산행·낙뢰
  • 응급처치법
  • 다중업소 소방안전교육
  • 아는만큼 안전하다

태풍·강풍

HOME > 안전지킴이 > 자연재난 > 태풍·강풍
태풍
 

태풍특보시 국민행동요령

태풍특보시 대비요령
  • TV나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알아둡니다.
  •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옮깁니다.
  •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 또는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 지붕이 날아가지 않도록 미리 점검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 경작지 용·배수로를 점검하러 나가는 것은 위험하니 하지 말아야 합니다.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말고, 지하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의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하시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방법을 미리 의논합시다. 선박을 묶거나 어망·어구 등을 옮기는 행위를 하지 맙시다.
  • 선박을 묶거나 어망·어구 등을 옮기는 행위를 하지 맙시다.
[특보기준]
특보기준
명칭 주의보 경보
태풍 태풍으로 인하여 강풍, 풍랑, 호우, 폭풍 해일 현상 등이 주의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태풍으로 인하여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① 강풍(또는 풍랑) 경보기준에 도달 할 것으로 예상될 때
  • ② 총 강우량이 200mm이상 예상될 때
  • ③ 폭풍해일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Q :장마철이 지나면 바로 태풍이 올라오는데 태풍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A :태풍 경로에 있는 주민들은 라디오, TV를 통해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며, 하수구, 배수구, 집주변 축대 담장이 붕괴 우려가 있는지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사전에 단단히 고정하여야하며, 특히 침 수산사태 위험이 있는 주민은 대피장소, 비상연락 방법을 미리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태풍 오기 전에는

  • TV나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알아둡니다.
  •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 침수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사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니다.
  •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옮깁니다.
  •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의 생필품을 미리 준비합니다.
  •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 또는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 태풍이란 태풍은 북태평양 남서해상에서 발생하는 열대상 저기압 중에서
    중심 최대풍속이 1초당 17m 이상의 폭풍우를 동반하고 있는 기상현상을 말합니다.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은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 운전 중에는 감속운행 합니다.
  •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 안에 있도록 합니다.
  • 낡은 창호는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니 미리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해야 합니다.
  • 테이프를 붙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도록 해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 창틀과 유리 사이의 채움재가 손상되거나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이 깨질 위험이 있으므로, 틈이 없도록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 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않도록 합니다.
  •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니다.
  • 집 주변이나 경작지의 용·배수로를 점검합니다.
  • 어업활동을 하지 말고 선박을 단단히 묶어두어야 합니다.
  • 어로시설을 철거하거나 고정해야 합니다.
  • 주택주변에 산사태 위험이 있으면 미리 대피해야 합니다.
  • 위험한 물건이 집 주변에 있다면 미리치웁니다.
  • 논둑을 미리 점검하고 물꼬를 조정합니다.
  • 선박을 단단히 묶어두고 어망·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니다.

태풍 주의보 때는

  • 도시지역에서는
    • 저지대·상습침수지역의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니다.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 운전 중에는 감속운행 합니다.
    •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급니다.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 대피할 때는 수도, 가스, 전기를 반드시 차단해야 합니다.
    •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둡니다.
  • 농촌지역에서는
    • 저지대·상습침수지역의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니다.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 감전위험이 있으니 고압전선 근처에 가지 말아야 합니다.
    •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 바람에 지붕이 날아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고 바람에 날아갈 수 있는 물건을 단단히 묶어둡니다.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 집 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급니다.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둡니다.
    • 경작지 용·배수로를 점검하러 나가는 것은 위험하니 하지 말아야 합니다.
    •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비닐하우스 등의 농업시설물을 미리 점검합니다.
    • 배수로정비, 버팀목 보강, 신속한 물빼기, 농약살포
  • 해안지역에서는
    • 저지대·상습침수지역의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니다.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말고, 지하에 살고 있는 분은 대피해야 합니다.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 해안도로 운전은 피해야 합니다.
    •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 집 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급니다.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둡니다.
    • 바닷가 근처나 저지대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니다.
    • 어업활동이나 선박을 묶는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 어로시설을 철거하거나 고정하는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 해수욕장을 이용해서는 안 됩니다.
    • 고무타이어를 충분히 부착, 어망, 어구는 미리 걸어둠

태풍 경보 때는

  • 도시지역에서는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말고, 지하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의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건물의 간판이나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 안에 있도록 합니다.
    • 낡은 창호는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니 미리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해야 합니다.
    • 테이프를 붙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도록 해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 창틀과 유리 사이의 채움재가 손상되거나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이 깨질 위험이 있으므로, 틈이 없도록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물이 넘쳐서 흐르는 것을 막읍시다.
    • 바람에 날아갈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과 하수도 맨홀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하시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방법을 미리 의논합시다.
  • 농촌지역에서는
    •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물이 넘쳐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 침수를 예방합시다.
    • 논둑을 점검하거나 물꼬를 조정하러 나가는 것은 위험합니다.
    •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 산사태 징후가 있는 때는
    • 장마철에는 어느 때 보다도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주변에서 다음과 같은 산사태 발생 징후가 보이면 빨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을 때
      ► 이때는 땅속에 과포화 된 지하수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산사태의 위험이 커진다.
    •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출 때
      ► 이때는 산위의 지하수가 통과하는 토양층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므로 위험이 많다고 볼 수 있다.
    • 갑자기 산허리의 일부가 금이 가거나 내려앉을 때
      ► 이는 산사태가 발생하는 조짐이므로 미리 대피하는 것이 좋다.
    •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때, 산울림이나 땅울림이 들릴 때
      ► 산사태가 이미 시작된 것으로 즉시 대피하고 행정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 자만심은 금물
  • 해안지역에서는
    •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 집 근처에 위험한 물건이 있다면 미리 치웁시다.
    •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 선박을 묶거나 어망·어구 등을 옮기는 행위를 하지 맙시다.
    • 가족 간의 연락방법이나 대피방법을 미리 확인합시다.
    • 오물 및 흙탕물을 제거하고 어방약제를 혼합급여
  •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시·군·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 비상 식수가 떨어졌더라도 아무 물이나 마시지 말고 물은 꼭 끓여 드십시오.
    •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고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함부로 손대지 말고 전문 업체에 연락해 안전성 확인 후 사용합시다.
    • 피해를 입은 사유시설 등을 보수·복구할 때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두십시오.
    • 제방이 무너질 수 있으니 제방 근처에 가지 맙시다.
    •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강풍
 

강풍특보시 국민행동요령

강풍특보시 대비요령
  •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 안에 있도록 합니다.
  • 낡은 창호는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니 미리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해야 합니다.
  • 테이프를 붙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도록 해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 창틀과 유리 사이의 채움재가 손상되거나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이 깨질 위험이 있으므로 틈이 없도록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 유리창이 깨졌을 때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유리창에 안전 필름을 붙입니다.
  • 해안지역에서는 파도에 휩쓸릴 위험이 있으니 해안도로나 바닷가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정보를 확인하여 신속하게 대처합니다.
  • 간판 등과 같이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 비닐하우스는 방풍벽이나 그물 등을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합니다.
[특보기준]
특보기준
명칭 주의보 경보
강풍 육상풍속 14㎧ 또는 순간풍속 20㎧ 이상
산지풍속 17㎧ 또는 순간풍속 25㎧ 이상
육상 풍속 21㎧ 또는 순간풍속 26㎧ 이상
산지 풍속 24㎧ 또는 순간풍속 30㎧ 이상
Q :강풍특보 발효시 아파트 창문파손을 어떻게 하면 최소화 할 수 있습니까 ?
A :고층아파트 등 대형·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창틀고정(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피해를 최소화 합시다.

강풍이 오기 전에 이렇게 행동하세요

  •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 안에 있도록 합니다.
  • 낡은 창호는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니 미리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해야 합니다.
  • 테이프를 붙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도록 해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 창틀과 유리 사이의 채움재가 손상되거나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이 깨질 위험이 있으므로 틈이 없도록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 유리창이 깨졌을 때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유리창에 안전 필름을 붙입니다.
  • 해안지역에서는 파도에 휩쓸릴 위험이 있으니 해안도로나 바닷가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정보를 확인하여 신속하게 대처합니다.
  • 옥상이나 집 주위의 빨래, 화분 등 작은 물건은 실내로 옮깁니다.
  • 간판 등과 같이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 바람에 의해 농약병이 깨지지 않도록 안전한 곳에 보관합니다.
  • 비닐하우스는 방풍벽이나 그물 등을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합니다.

강풍이 몰아치면 이렇게 행동하세요

  • 간판이 떨어지고 가로수가 넘어질 위험이 있으니 외출을 삼가고,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대피 시에는 나무나 전신주를 피하고 안전한 건물로 대피합니다.
  • 창문과 같은 유리창 근처는 유리가 깨지면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피합니다.
  • 공사장은 바람에 날리거나 떨어질 건축자재 등이 많으므로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유리창이 깨졌을 때는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어 다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지붕 위나 바깥에서의 작업은 피해야 합니다.
  • 운전 중에는 속도를 줄여 강풍에 의한 사고에 주의해야 합니다.
  • 파도에 휩쓸릴 위험이 있으니 해안도로나 바닷가로 나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강풍이 지나간 후 땅바닥에 떨어진 전깃줄에 가까이 가거나 만지지 않아야 합니다.
  • 강풍으로 파손된 전기시설 등 위험 상황을 발견했을 때에는 119나 시·군·구청에 신고합니다.
[강풍 주의보, 경보 발령기준]
강풍 주의보, 경보 발령기준
구분 육상 산간
보통(풍속) 순간풍속 보통(풍속) 순간풍속
주의보 14m/s이상 20m/s이상 17m/s이상 25m/s이상
경 보 21m/s이상 26m/s이상 24m/s이상 30m/s이상

강풍이 지나간 후에는 이렇게 행동하세요

  • 피해를 조사하고 사진을 촬영하여 둡시다.
  • 가스, 수도, 전기 등 작동 여부를 확인 합시다
  • 시·군·구청 등의 지시에 따르시기 바랍니다.

만족도 평가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만족도평가창
최종수정일 : 2016-02-24
  • quickmenu
  • 민원서식자료
  • 화재피해안내센터
  • 부조리신고센터
  • 119안전신고센터
  • 청탁금지법 위반행위 신고센터
  • top

개인보호정책

  • 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저작권보호정책
  • 홈페이지개선의견
  • 뷰어프로그램
  • 사이트맵
top

전북소방본부 JB Fire Headquarters

주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효자동3가 1) 전북도청  16층 TEL : 063-280-3831
  • Copyright(c) 2010 JB Fire Safety Haedquaters,All Right Reserved